요즘 뉴스를 보다 보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 이야기만큼이나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는 걸 느끼셨을 거예요. 하지만 이름부터가 낯설고, 개념이 어렵게 느껴져서 “이건 나랑은 상관없는 얘기인가?” 싶기도 하죠.
그런데 의외로, 스테이블 코인 이란, 우리가 알고 있는 비트코인보다 더 실생활과 가까운 개념이에요. 특히 요즘처럼 디지털 자산이 빠르게 제도권으로 편입되고 있는 시대에는, 이 스테이블코인을 이해하는 것이 디지털 금융을 이해하는 첫걸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거든요.
💡 스테이블 코인 이란? 말 그대로 ‘안정된 코인’이에요
한마디로 설명하자면, 가격이 거의 변하지 않는 코인이라고 말할 수 있어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하루에도 수십 퍼센트씩 가격이 오르내리는 코인들과는 달리, 스테이블코인은 보통 미국 달러 같은 법정화폐에 1:1로 가치를 고정해두기 때문에 가격이 거의 그대로 유지돼요.
예를 들어, "USDT(테더)"라는 스테이블코인은 언제나 1달러 근처의 가치를 유지하려고 설계되어 있어요.
사람들이 암호화폐 시장에서 코인을 사고팔 때, 기준이 되는 ‘현금’처럼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바로 스테이블 코인 이란 말이죠. 쉽게 말해, 가상화폐 시장에서의 디지털 달러 역할을 한다고 보면 이해가 빠를 거예요.
🧭 왜 사람들이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할까요?
스테이블코인은 가격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털 자산 시장 안에서 돈처럼 쓰기에 매우 편리한 수단이에요.
예를 들어 비트코인을 거래할 때, 일일이 원화를 입금하고 환전하는 과정이 복잡할 수 있는데, 이럴 때 스테이블코인을 가지고 있으면 바로 비트코인이나 다른 코인을 사고팔 수 있어요.
또한,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송금 수단으로도 주목받고 있어요.
해외에 돈을 보낼 때 전통적인 은행 시스템은 수수료도 높고 시간이 오래 걸리잖아요?
그런데 스테이블코인을 이용하면 몇 분 안에,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송금이 가능하답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스테이블코인이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 시장의 기반 통화로 자리 잡고 있어서,
이자를 받기 위한 예치나 대출, 스테이킹, 파생상품 거래 등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어요.
🧩 스테이블코인 종류, 생각보다 다양해요
스테이블코인은 ‘무조건 1달러’에 가까운 가치를 유지해야 한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그 방식에는 꽤 많은 차이가 있어요.
크게는 담보 방식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법정화폐 담보형 (Fiat-Collateralized)
이건 가장 일반적이고, 현재 시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이에요.
실제 미국 달러나 국채 같은 자산을 예치해두고, 그만큼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구조죠.
• USDT(테더): 시장 점유율 1위 스테이블코인이에요. 다만, 과거 담보 자산이 불투명하다는 논란이 있었던 만큼, 완벽하게 안전하다고 보기는 어려워요.
• USDC(서클): 미국의 금융 기업이 발행하며, 담보 공개가 비교적 투명하고 규제 친화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어요.
• TUSD, FDUSD 등: 최근에는 경쟁 구도를 형성하는 다양한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죠.
② 암호화폐 담보형 (Crypto-Collateralized)
이 방식은 법정화폐 대신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를 담보로 걸고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시스템이에요.
대표적인 예로는 "DAI(다이)"가 있어요.
탈중앙화된 메이커다오(MakerDAO)라는 시스템을 통해 발행되며, 자동화된 스마트 계약으로 운영돼요.
하지만 담보가 되는 암호화폐 자체의 가격이 크게 변동하면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과잉 담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어요.
③ 무담보 알고리즘형 (Algorithmic Stablecoin)
이건 조금 더 실험적인 방식이에요.
아무 담보 없이, 가격이 오르면 발행량을 줄이고, 떨어지면 늘리는 알고리즘으로 1달러의 가치를 맞추는 구조죠.
하지만 대표적인 예였던 "UST(테라USD)"가 무너지고 루나코인이 붕괴되면서 이 방식은 신뢰를 많이 잃었어요.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거나, 아주 제한적인 프로젝트만 실험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스테이블코인 관련주, 어떤 기업들이 있을까?
직접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주식 시장에서 사고파는 건 불가능하지만,
관련 생태계를 구축하거나, 스테이블코인과 직접적인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들은 있어요.
기업명 | 관련 내용 |
코인베이스 (COIN) |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USDC 공동 발행사 |
서클(Circle) | USDC 발행 주체, 상장 추진 중 |
블랙록 (BlackRock) | USDC의 자산관리 파트너로 참여 |
마이크로스트래티지 (MSTR) | 비트코인 대량 보유 기업, 디지털 자산 연계 강함 |
국내에는 아직 직접적인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없지만,
간접적으로 디지털 자산 생태계와 관련된 카카오의 ‘클레이튼’,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등이 주목받고 있어요.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금융의 허리
스테이블 코인 이란 비트코인처럼 ‘투자 수익’을 얻기 위한 자산이라기보다는,
디지털 세상에서 안정적으로 돈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반 통화에 더 가까워요.
특히 전 세계가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지금,
스테이블코인은 민간이 먼저 실험한 디지털 화폐의 전초전이라고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테라 사태처럼, 기초 신뢰가 무너졌을 때 얼마나 빠르게 시스템 전체가 붕괴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 사례도 존재하는 만큼,
단순히 ‘달러랑 같아서 안전하다’는 생각보다는,
그 이면에 있는 구조와 발행 주체의 신뢰도를 함께 따져보는 시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해요.